TCP / IP 는 4개의 계층으로 나뉜다.
[ 그림 1-1 ]
전송계층 , 네트워크 계층 , 데이터링크 계층을 지날때마다 데이터에 계층의 헤더가 붙는다.
전송계층은 TCP 헤더 , 네트워크 계층은 IP 헤더 , 데이터 링크 계층은 프레임 헤더라고 한다.
데이터에 헤더가 붙으면 계층마다 명칭이 바뀌는데 전송 계층에서는 이를 패킷이라고 하고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 그램 , 데이터 링크 계층은 프레임 이라고 한다.
전송계층은 포트주소 ,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 , 데이터 링크계층은 물리주소를 사용한다.
[ 그림 1-2 ]
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주소로 이루어져있다.
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의 양에 따라 클래스 별로 관리를 한다.
Class A ~ C 는 C로 갈수록 호스트 주소의 양의 줄어든다.
[그림 1-3] 와 같다.
[ 그림 1-3 ]
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한다.
E 클래스는 브로드 캐스트 용도로 사용한다.
IP 는 TCP / IP 프로토콜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.
TCP 는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하는 연결지향형 프로토콜이다.
IP는 전송완료까지는 보장하지 않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.
TCP 방식은 연결 지향형 방식으로써 에코를 받고 그 경로로 다시 보낸다.
UDP 방식은 비 연결 지향형 방식으로써 에코가 없기 때문에 가는 경로는 항상 바뀔 수 있고 이로인해 전달 순서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.
TCP / IP 에서 IP 계층의 패킷을 데이터그램 이라고 한다.
이 헤더의 크기는 가변적이다. 구조는 [그림 1-4] 와 같다.
[ 그림 1-4 ]
버전 : IPv4 , IPv6
헤더길이 : 가번적이다.
서비스 유형: 라우터가 처리해야하는 데이터그램 규정. precedence(4bit) -> 우선순위 + TOS(4bit) -> QOS(서비스의 질)
총 길이 : 전체 길이. 64K 가 최대 값
식별 : 몇번째 명령어인지 적는다.
플래그 : 명령어의 끝인가 아닌가를 정한다.
단편 오프셋 : ??
라이프 타임 : Time tO Live.(TOL) 라우터를 통과한 개수. 개수 이내에 찾지 못하면 실패 메시지.
헤더 검사 합 : 오류검사
IPv4 는 20byte이고 IPv6은 40byte 이다.
출처 : http://wndrlf2003.blog.me/220005915629
'Skill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tables (0) | 2014.07.09 |
---|---|
TCPDUMP 옵션 및 사용법 (0) | 2014.07.07 |
Ping으로 목적지의 OS 알아보기 (0) | 2014.05.22 |
Promiscuous Mode (0) | 2014.05.22 |
공개된 PCAP파일 예제들 (0) | 2014.05.11 |
댓글